문제 환경
- OS: JetPack 5.1.2
- HW: Custom Carrier B'd + Jetson Orin NX
증상
user@user-desktop:~$ ll /dev/ttyTHS1
ls: cannot access '/dev/ttyTHS1': No such file or directory
해결 방법
DTB 파일을 Decompile -> Edit -> Compile 순서로 진행한다.
Decompile
먼저 본인의 /boot/dtb 폴더에 존재하는 .dtb
파일을 체크한다.
user@user-desktop:~$ ll /boot/dtb/
total 356
drwxr-xr-x 2 root root 4096 Apr 15 15:37 ./
drwxr-xr-x 4 root root 12288 May 20 16:04 ../
-rw-r--r-- 1 root root 346787 Jun 25 10:51 kernel_tegra234-p3767-0000-p3768-0000-a0.dtb
해당 파일을 Decompile하여 디바이스 트리 파일을 생성한다.
# 파일명은 개인마다 다르므로 위에서 확인된 파일을 사용한다.
sudo dtc -I dtb -O dts -o devicetree.dts /boot/dtb/kernel_tegra234-p3767-0000-p3768-0000-a0.dtb
Edit
De-compile시 경고가 발생하지만 정상적으로 devicetree.dts파일이 생성되었으면 serial@3110000
문구를 검색한다. 그럼 아래와 같은 블록이 보인다.
여기서 status
값을 disabled
에서 okay
로 변경한다.
serial@3110000 {
compatible = "nvidia,tegra194-hsuart";
iommus = <0x06 0x04>;
dma-coherent;
reg = <0x00 0x3110000 0x00 0x10000>;
reg-shift = <0x02>;
interrupts = <0x00 0x71 0x04>;
nvidia,memory-clients = <0x0e>;
dmas = <0x3f 0x09 0x3f 0x09>;
dma-names = "rx\0tx";
clocks = <0x02 0x9c 0x02 0x66>;
clock-names = "serial\0parent";
resets = <0x02 0x65>;
reset-names = "serial";
status = "okay"; # 여기 부분을 disabled에서 okay로 수정한다.
phandle = <0x2ff>;
};
Compile
수정 후 dts파일을 다시 dtb로 컴파일하고 기존 파일에 덮어쓴다.
sudo dtc -I dts -O dtb devicetree.dts -o /boot/dtb/kernel_tegra234-p3767-0000-p3768-0000-a0.dtb
참조
https://gist.github.com/TobidieTopfpflanze/c162f551ffc4a2be21dbd168371ef347
'System' 카테고리의 다른 글
[Jetson] VS Code를 사용한 Nvcc 컴파일 (0) | 2021.11.12 |
---|---|
[Linux] Visual Studio 2019에서 코딩하기 (0) | 2021.10.20 |
[Jetson] xavier NX 보드를 SSD에서 실행하기 (0) | 2021.1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