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4-01-15 기준 동작되는 것 확인 (크롬, Brave 브라우저 기준)
유튜브를 사용하다보면 내가 검색한 영상과 전혀 무관한, 혐오스러운 영상들이 추가되는데,
특히 "SPA" 붙은 채널들이나 피부외과 시술 영상들(일부 어그로성 썸네일)이 대다수였습니다..
제거하기 위해서 크롬 확장 프로그램을 사용합니다.
크롬 뿐만 아니라, 크로미움 기반 대부분 브라우저에서 사용 가능 (크롬 웹스토어 호환 시)
프로그램 설치
https://chromewebstore.google.com/detail/channel-blocker/nfkmalbckemmklibjddenhnofgnfcdfp
사용 방법 : 직접 등록
일단 확장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위 이미지에서 확장프로그램 클릭하면 아래 사진처럼 설정할 수 있는 창이 팝업됩니다.
보기 싫은 채널이 있는 경우, 우측 상단에 채널 이름이나 유저명을 추가해주면 끝입니다.
사용 방법 : 유튜브에서 지정
확장 프로그램을 설치하면 유튜브에 아래 사진과 같이 "X" 표시가 추가됩니다.
채널 이름을 등록하는 것이 번거롭다면 X 표시를 클릭해서 채널을 등록할 수 있습니다.
위 사진은 버튼 UI를 변경했기 때문에 붉은 색인데, 기본 값은 회색 계열이었던 것 같습니다.
그런데 경험 상 혐오 채널은 관련 동영상에 자주 등장한다.
관련 동영상은 이상하게 X 표시가 뜨지 않는다.
그래서 어쩔 수 없이 채널 이름을 드래그로 잘 복사해서 위에서 말한 직접 등록을 해야 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물론.. 해당 채널 들어가서 X 표시 생기면 제거해도 되는데, 굳이 클릭했다가 알고리즘 탈까봐 들어가진 않았습니다.
사용 방법 : 설정 로드
아래 첨부된 설정 파일을 Import Configure를 통해 등록한다. 클릭 -> 파일 선택 -> 확인의 간단한 작업으로 채널 등록이 가능합니다.
A 컴퓨터에서 B 컴퓨터로 설정 값을 복사할 때 주로 사용됩니다.
설정 파일은 종종 업데이트 해보겠습니다..
본문에 첨부된 설정 파일은 그냥 제 마음에 안드는 썸네일까지(혐오스럽다고 판단되는) 추가되었으므로,
나는 "외국산 혐오 채널만 등록하고 싶다" 하시는 분들은 직접 등록해야 합니다.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갤럭시 노트10 플러스 CSC 변경 (2023년 06월 12일 테스트) (10) | 2021.11.14 |
---|